•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표 내용

분류 지표 지표
내용
지표
설명
유의사항 데이터
레벨
자료
출처
자연 대기오염도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시도별 등급 대기오염도는 쾌적한 삶을 살기 위해 자연환경이 좋은 지역을 구분할 수 있는 지표 입니다. 대기오염도는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NO₂)에 의한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행정구역 별(시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환경과학원 미세먼지월별대기오염도(2019년), 이산화질소월별대기오염도(2019년)
※ 10등급에 가까울 수록 대기오염도가 낮습니다.
환경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일부 지역만 이용 가능합니다. 시도,
시군구
환경과학원 대기오염도(2019년)
생활날씨 체감온도(11월-3월), 불쾌지수(6월-9월) 시도별 등급 생활날씨는 쾌적한 삶을 살기 위해 자연환경이 좋은 지역을 구분할 수 있는 지표 입니다. 체감온도지수와 불쾌지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행정구역 별(시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기상청 체감온도(2018년 11월~2019년 3월), 불쾌지수(2019년 6월~9월)
※ 체감온도는 외부에 있는 사람이나 동물이 바람과 한기에 노출된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길 때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겨울철(11월-3월)에 측정하며, 높을수록 겨울철에 따뜻하다는 의미 입니다.
※ 불쾌지수란 기온과 습도의 조합으로 사람이 느끼는 온도를 표현한 것으로 온습도지수(THI)라고도 합니다. 여름철(6월-9월)에 측정하며, 낮을수록 여름철에 쾌적합니다.
※ 10등급에 가까울 수록 생활날씨가 좋습니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일부 지역만 이용 가능합니다. 시도,
시군구
기상청 체감온도(2018년~2019년) 불쾌지수(2019년)
녹지비율 토지피복도 비율 녹지비율은 쾌적한 삶을 살기 위해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녹지(산림, 초지) 비율을 통해 자연환경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녹지란 토지에서 산림과 초지를 의미하며 녹지비율은 토지에서 산림과 초지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행정구역별 면적 대비 녹지(산림, 초지)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환경부 토지피복도(2020년 2월 기준)
※ 산출식 : ((산림 면적 + 초지 면적) / 행정구역 면적) * 100
* 산림 : 수목이 집단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토지
** 초지 : 초본식물(줄기가 목질이 아닌 식물)로 덮인 토지
- 읍면동 환경부 토지피복도(2020년)
주택 공동주택비율 총주택중 아파트, 연립, 다세대 비율 공동주택비율은 전체 주택 중에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공동주택이란 하나의 건물에서 여러세대가 생활할 수 있는 주택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을 의미합니다. 2020 등록센서스 총 주택 대비 공동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에 해당하는 주택 유형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 산출식 : (아파트, 연립, 다세대 주택 수 / 총 주택 수) * 100
-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주거면적 1인당 주거 연면적 주거면적은 주택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1인당 살고있는 주거 면적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 총 인구 대비 주거 연면적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2020년)
※ 산출식 : 주거 연면적 / 총 인구
총 인구에서 외국인, 기숙사, 군부대 거주자는 제외 읍면동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2020년)
노후주택비율 건축연도 20년 이상(1995년 이전)경과 주택비율 노후주택비율은 주택의 노후화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노후주택은 건축된지 20년 이상 경과된 주택을 의미하며, 노후주택 비율은 전체 주택 중에 노후주택이 차지하는 비율로, 2020 등록센서스 총 주택 대비 20년도 이상 노후 주택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 산출식 : (건축 연도 20년이상 주택 수 / 총 주택 수) * 100
-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자가점유비율 점유형태 중 자가점유 비율 자가점유비율은 가구 수에 비해 주택 수가 얼마나 여유있는지 아니면 부족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 가구 중 자신이 소유한 주택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주택의 비율을 의미하며, 2015 인구주택총조사 총 주택 대비 자가점유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2015년)
※ 산출식 : (자가점유 가구 수 / 총 가구 수 ) * 100
- 읍면동 인구주택총조사(2015년)
공지시가 주거용 토지의 단위 면적(1㎡)당 가격 공지시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써 면적(1㎡당) 대비 주거용(단독, 연립, 다세대, 아파트) 토지 가격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국토교통부 공지시가(2020년 1월 1일)
※ 산출식 : 토지 가격/토지 면적
- 읍면동 국토교통부 공지시가(2020년)
면적당 아파트 가격 면적(1㎡당) 대비 아파트 실거래 가격 면적당 아파트 가격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써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바탕으로 아파트 면적(1㎡당) 대비 가격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국토교통부 주택실거래가(2018년1월1일~2019년12월31일)
※ 산출식 : 아파트 가격 / 아파트 면적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자료로, 2018년1월1일~2019년12월31일 사이에 실거래가 일어나지 않은 지역은 값이 없을 수 도 있습니다. 읍면동 국토교통부 주택실거래가(2018년, 2019년)
지역 인구 청장년인구비율 총 인구 중 15-64세 인구(생산가능인구) 비율 청장년인구는 생산가능인구로써 15세~64세까지 인구를 의미하며 청장년인구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2020 등록센서스 총 인구 대비 청장년인구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 산출식 : (15세-64세 인구 / 총 인구) * 100
-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친족가구 비율 총 가구 중 2세대(부부+자녀) 이상 가구 비율 지역 인구의 세대유형 중 2세대(부부+자녀 등) 이상으로 구성된 가구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입니다. 2020 등록센서스 총 가구 대비 2세대 이상의 가구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 산출식 : (2세대 이상 가구수 수 / 총 가구 수) * 100
-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사업체 종사자 비율 지역 인구 대비 사업체 종사자 비율 지역인구 대비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인구(직장인구)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2020 등록센서스 총 인구 대비 사업체에 종사하는 인구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산출식 : (사업체 종사자 수 / 인구) * 100
-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순유입인구 비율 시군구별 순이동률(전입-전출) 순유입인구비율은 지역인구의 이동현황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2020 주민등록인구 대비 인구의 순이동자(전입-전출) 비율을 행정구역 별(시군구)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2020년)
※ 산출식 : 순이동률 = (순이동자수 / 연앙인구) * 100 (= 전입률 - 전출률)
- 전입률 : (전입자수 / 연앙인구) * 100
- 전출률 : (전출자수 / 연앙인구) * 100
- 주민등록연앙인구 : 해당연초와 연말인구 평균
- 시군구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2020년)
안전 화재 안전 화재 안전지수(등급) 화재사고 위험지역을 1~5등급으로 구분하여 발표한 행정안전부 화재안전지수를 바탕으로 화재안전에 대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행정구역 별(시군구) 화재안전 수준을 나타내는 화재안전지수(등급)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행정안전부 화재 안전지수(2019년 기준)
※ 1등급(좋음) ~ 5등급(나쁨)
- 시군구 행정안전부 화재 안전 지수(2019년)
교통사고 안전 교통 안전지수(등급) 교통사고 위험지역을 1~5등급으로 구분하여 발표한 행정안전부 교통사고안전지수를 바탕으로 교통안전에 대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행정구역 별(시군구) 교통안전 수준을 나타내는 교통사고안전지수(등급)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행정안전부 교통 안전 등급(2019년 기준)
※ 1등급(좋음) ~ 5등급(나쁨)
- 시군구 행정안전부 교통 안전 지수(2019년)
범죄 안전 범죄 안전지수(등급) 범죄 위험지역을 1~5등급으로 구분하여 발표한 행정안전부 범죄안전지수를 바탕으로 범죄안전에 대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행정구역 별(시군구) 범죄안전 수준을 나타내는 범죄안전지수(등급)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행정안전부 범죄 안전지수(2019년 기준)
※ 1등급(좋음) ~ 5등급(나쁨)
- 시군구 행정안전부 범죄 안전지수(2019년)
안전사고 안전 사고지수(등급) 안전사고 위험지역을 1~5등급으로 구분하여 발표한 행정안전부 안전사고지수를 바탕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행정구역 별(시군구) 안전사고 수준을 나타내는 안전사고지수(등급)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행정안전부 안전 사고지수(2019년 기준)
※ 1등급(좋음) ~ 5등급(나쁨)
- 시군구 행정안전부 안전 사고지수(2019년)
감염병 안전 감염병 안전지수(등급) 감염병 위험지역을 1~5등급으로 구분하여 발표한 행정안전부 감염병안전지수를 바탕으로 감염병안전에 대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행정구역 별(시군구) 감염병안전 수준을 나타내는 감염병안전지수(등급)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행정안전부 감염병 안전지수(2019년 기준)
※ 1등급(좋음) ~ 5등급(나쁨)
- 시군구 행정안전부 감염병 안전지수(2019년)
자연재해 안전 자연재해 안전지수(등급) 자연재해 위험지역을 1~5등급으로 구분하여 발표한 행정안전부 자연재해안전지수를 바탕으로 자연재해 안전에 대한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행정구역 별(시군구) 자연재해 안전 수준을 나타내는 자연재해안전지수(등급)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행정안전부 자연재해 안전지수(2019년 기준)
※ 1등급(좋음) ~ 5등급(나쁨)
- 시군구 행정안전부 자연재해 안전지수(2019년)
생활 편의 교통 편의시설 수 공공기관(중앙 및 지방행정기관, 주민센터, 경찰서, 우체국 등), 은행, 주차장 수 편의시설은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생활편의시설이 많은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생활 편의에 관련된 사업체 수를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편의시설 : 행정기관(시청, 주민센터 등), 우체국, 경찰서, 소방서, 은행, 주차장
- 읍면동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쇼핑시설 수 대형 종합소매업, 백화점 수, 슈퍼마켓, 체인화 편의점 쇼핑시설은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쇼핑시설이 많은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쇼핑에 관련된 사업체 수를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쇼핑시설 : 백화점, 중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 읍면동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잡화점 수 식료품점 수 잡화점은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잡화점이 많은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관련 사업체 수를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쇼핑시설 : 식료품점
- 읍면동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외식시설 수 음식점업 수 외식시설은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외식시설이 많은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외식과 관련된 음식점 사업체 수를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외식시설 : 한식, 중식, 일식, 분식, 서양식, 제과점, 패스트푸드, 치킨, 호프 및 간이주점, 카페, 기타외국식
- 읍면동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대중교통 이용률 대중교통 이용자 비율 대중교통 이용률은 생활편의와 관련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대중교통(버스, 전철, 지하철, 기차)으로 통근통학하는 12세 이상 인구에 대한 비율을 행정구역 별(시군구)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2015년 표본조사)
※ 산출식 : (12세 이상 통근통학인구 중 버스 및 전철, 지하철, 기차 이용자 수 / 12세 이상 인구) * 100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10%표본 자료로서 2015년 행정구역 경계와 상이 할 수 있습니다. 시군구 인구주택총조사
(2015년 표본조사)
교육 교원 1인당 학생 수 초중고 교원 1인당 학생 수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중고등학교 교원 1인당 학생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초중고 교원 1인이 담당하는 학생 수를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교원 1인당 학생 수 현황(2019년)
※ 산출식 : 총 학생 수 / 교원 수
- 읍면동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교원 1인당 학생 수 현황(2019년)
고등교육기관 수 전문대 이상 고등교육기관 수  고등교육기관은 전문대학교 이상의 교육기관으로 지역 내 고등교육기관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전문대 이상의 고등교육기관 수를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고등교육기관 : 전문대, 대학, 일반 대학원
- 읍면동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학원 수 학원 수  학원은 지역내 교육과 관련된 학원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행정구역 별 학원 수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학원 : 교습학원, 어학원, 예체능학원, 컴퓨터학원
- 읍면동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복지 문화 유치원 및 보육시설 보육시설 기관 대비 5세 미만 인구 유치원 및 보육시설은 지역별 유아에 대한 복지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5세 이하의 유아를 위한 교육시설을 의미하며, 유치원 및 보육시설 대비 5세 이하 인구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산출식 : 5세 이하 인구 / 보육시설 및 유아교육 시설 수
수치가 낮을 수록 유아 인구 대비 지역 내 유치원 및 보육시설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병의원 및 약국 병의원(종합병원) 및 의약품 판매업 대비 총 인구 병의원 및 약국은 편리한 삶과 관련된 복지시설 중 의료수준이 좋은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병의원, 약국 대비 인구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산출식 : (총 인구 / (병원 수 + 약국 수))
수치가 낮을 수록 인구 대비 지역 내 병의원 및 약국시설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노인복지시설 노인 복지시설 대비 65세 이상 노인 인구 노인복지시설은 65세 이상 노인의 복지 수준을 고려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노인복지시설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산출식 : 65세 이상 인구 / 노인복지 시설운영업 사업체 수
수치가 낮을 수록 노인 인구 대비 지역 내 노인복지시설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사회복지시설 사회 복지시설 대비 총 인구 사회복지시설은 지역별 사회복지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사회복지시설 대비 인구 비율을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산출식 : 총 인구 / 사회복지 서비스업 사업체 수
수치가 낮을 수록 인구 대비 지역 내 사회복지시설이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읍면동 통계청 등록센서스(2020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문화체육시설 수 문화 체육 기반시설 수 문화체육시설은 지역별 문화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극장 영화관 등의 문화시설과 체육공원 스포츠 서비스업 등의 체육시설 수를 행정구역 별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처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
※ 문화체육시설 : 극장, 영화관, 박물관, 사적지, 식물원, 동물원, 자연공원, 체육공원, 유원지, 테마파크, 스포츠 서비스업(헬스클럽, 수영장 등)
- 읍면동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