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도시화 분석지도

서비스 개요


○ ‘UN 도시분류’ 기준을 적용한 인구변화에 따른 도시화 권역의 변화 모습과 격자 통계정보 및 분석 지표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UN의 도시분류 기준의 공식화: 유럽연합, 유엔 인간거주계획, 세계은행 등 6개 국제기구가 도시 기준을 표준화하기 위해 만든 도시 개념을 `20년 UN 통계위원회에서 공식 채택



○ 행정구역과는 별개로 1㎢ 격자의 상주인구를 집계한 후,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도시, 준도시 권역으로 구분합니다.

    * 격자: 국토를 행정구역과 관계없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가로, 세로선으로 구분한 영역

   - (도시) 인구가 1,500명 이상인 격자 추출 후 인접한 격자끼리 병합한 격자 그룹 생성, 격자 그룹별 인구 총합이 5만명 이상인 경우

   - (준도시) 인구가 300명 이상인 격자 추출 후 인접한 격자끼리 병합한 격자 그룹 생성, 격자 그룹별 인구 총합이 5천명 이상인 경우



○ (도시 변화) 도시화 권역(도시, 준도시)의 2000년 이후, 동적 시계열 변화 모습을 제공합니다.

○ (도시화 통계) 도시화 권역(도시, 준도시)의 2015년 이후, 격자 통계데이터 (면적, 인구, 가구, 주택, 사업체, 종사자) 및 행정구역(시군구)과의 비교 정보를 제공합니다.

○ (도시화 지표 분석) 도시화 관련 지표(인구밀도, 평균나이, 노령화지수, 1인가구 비율, 아파트비율, 신규주택비율, 노후주택비율, 녹지비율)의 시계열 변화와 권역 순위, 다른 권역과의 비교 정보 등을 제공합니다.

○ (생활시설 분포) 도시화 권역(도시, 준도시)내 생활시설 분포 정보를 제공합니다.



화면 구성

  1. ○ 처음페이지>분석지도>도시화 분석지도>도시 변화
도시 변화지도 화면
  1. 1) 재생, 정지 기능을 통해 도시화 권역의 동적 시계열 변화 모습을 2000년부터 최근 시점까지 확인합니다.
  2. 2) 재생, 정지 기능을 통해 도시화 권역의 시계열 변화 모습을 최근 시점부터 역순으로 확인합니다.
  3. 3) 멀티뷰 기능을 통해 도시화 권역의 연도별 지도를 최대 4분할 화면으로 확인합니다.
  4. 4) 각 연도별 도시화 권역 지도를 이미지 형태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5. 5) 이용자가 선호하는 배경지도(일반지도, 백지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 처음페이지>분석지도>도시화 분석지도>도시화 통계
도시화 통계지도 화면
  • ▶ 연도 선택→ 도시/준도시 선택→ 대권역 선택→ 도시화 권역 선택→ 격자 통계데이터 조회
    1. 1) 해당 연도의 도시 및 준도시 권역 분포와 경계를 확인합니다.
    2. 2) 선택한 도시화 권역(도시/준도시)의 격자 통계데이터(면적·인구·가구·주택·사업체·종사자)를 조회합니다.
    3. 3) 선택한 도시화 권역(도시/준도시)의 격자 통계데이터와 행정구역(시군구) 통계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4. 4) 종합통계보기 기능을 통해 통계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 처음페이지>분석지도>도시화 분석지도>도시화 지표 분석
    도시화 지표 분석지도 화면
  • ▶ 연도 선택→ 도시/준도시 선택→ 대권역 선택→ 도시화 권역 선택→ 도시화 지표 조회
    1. 1) 도시화 관련 지표(인구밀도, 평균나이, 노령화지수, 1인가구 비율, 아파트비율, 신규주택비율, 노후주택비율, 녹지비율)의 시계열 변화(증감) 및 권역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도시화 지표 조회→ 비교 권역 선택→ 지표 데이터 및 순위 비교
    1. 2) 두 도시화 권역의 지표 데이터 및 순위를 비교 할 수 있습니다.
    2. 3) 종합통계보기 기능을 통해 지표데이터 및 순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 처음페이지>분석지도>도시화 분석 지도>생활시설 분포
    생활시설 분포 화면
  • ▶ 도시/준도시 선택→ 대권역 선택→ 도시화 권역 선택→ 생활시설 확인하기 -> 생활시설 분포 조회
    1. 1) 선택한 도시화 권역(도시/준도시)의 생활시설(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병원, 보건소, 경찰서, 소방서, 사회복지, 도서관)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