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하기

나만의 통계지도 만들기

1. 나의 데이터를 보여줄 수 있을까 ?

대화형 통계지도의 '나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내가 가지고 있는 위치자료를 서버에 업로드 할 수 있고, 위치보기, 열지도 등 다양하게 시각화가 가능합니다.
'나의 데이터' 기능을 이용해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통계지도를 만들고, 다양하게 시각화 해보세요. ※ SGIS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그림> '나의 데이터'를 이용한 통계지도 시각화 예시
'나의 데이터'를 이용한 통계지도 시각화 예시

2. 나의 데이터 이용방법

학생들이 주소정보를 포함한 자료를 가지고 있는 경우 해당자료를 엑셀양식에 맞춰 정리한 후 대화형 통계지도에 업로드하면 주소가 지도좌표로 변환되어 화면에 마커 또는 열지도로 표시할 수 있다.

1단계. '나의 데이터' 목록 확인

먼저 로그인을 하고, '마이페이지 > 나의 데이터' 메뉴 버튼을 누르면 직접 업로드한 데이터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이페이지 메뉴는 기본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로그인을 한 후에 볼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는 대화형통계지도 또는 생활업종통계지도 서비스에서 활용 가능하다.

마이페이지 메뉴 단계 화살표 나의 데이터 목록
마이페이지 메뉴 나의 데이터 목록
로그인을 하면 화면 최상단에 마이페이지 메뉴가 나타나고, 마이페이지 버튼을 누르면 마이페이지 사용자 관리 화면으로 이동하고 나의 데이터 메뉴를 확인할 수 있음. 나의 데이터 목록에는 이전에 업로드한 데이터 목록이 표출됨. 업로드된 데이터는 지도보기, 다운로드, 데이터 설정 등을 할 수 있음.

2단계. 데이터 업로드

데이터 업로드를 위해 예제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파일형식을 확인하고, 이에 맞게 데이터를 생성하여 업로드 해본다.

1회 데이터 업로드 시 제한이 있다. 3500row /10 column (엑셀, CSV, TXT)

지정정보는 엑셀, CSV, TXT 파일 형식을 이용하고, 마커/라인/폴리곤 등의 정보는 KML 파일 형식을 이용하도록 한다.

내 파일 업로드하기 단계 화살표 데이터 업로드 (엑셀 파일)
내 파일 업로드하기 데이터 업로드 (엑셀 파일)
'내 파일 업로드하기'버튼을 누르면 '나의 데이터 업로드'페이지로 이동하고, 파일을 선택해서 업로드 할 수 있음. 데이터 생성 시 예제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확인이 필요하고, 이에 맞게 데이터를 생성해야 함 엑셀파일의 경우 명칭과 정확한 주소는 반드시 있어야 하며, 그 외 필드는 마음대로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음.

3단계. 지오코딩 및 지도표출 설정

지도에 표출하기 위한 좌표 생성을 위해 지오코딩을 실행하고, 그 후에 지도 표출 방식을 설정한다.

주소는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 모두 사용 가능하고, 데이터에 X, Y 좌표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주소는 없어도 된다.

지도표출 설정 시 데이터 시각화 유형으로 마커를 이용한 위치표시 방식과 열지도 표출 방식이 있다.

위치조회(지오코딩) 실행 단계 화살표 지도표출 설정
위치조회(지오코딩) 실행 지도표출 설정
위치조회(지오코딩) 실행한 후에 X, Y 필드를 선택하거나, 주소 필드를 선택하면 입력한 주소를 바탕으로 지도에 표시할 X, Y좌표를 자동으로 찾아준다. 주소가 정확하지 않을 시 실패할 수 있다. 지도표출 설정 버튼을 눌러서 지도화면에 표출될 기본 설정을 할 수 있음. 기본적으로 표시될 대표명칭, 마우스로 클릭할 때 보일 데이터, 시각화유형(열지도 또는 위치표시) 설정이 가능함.

4단계. 서비스에서 내 데이터 활용

업로드가 완료된 내 데이터를 대화형 통계지도 서비스에서 확인해보도록 한다.

데이터보드의 위치정보 목록에서 항목을 체크하여 각 항목별로 표출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대화형 통계지도에서 표출(위치보기 타입) 단계 화살표 대화형 통계지도에서 표출(열지도 타입)
대화형 통계지도에서 표출(위치보기 타입) 대화형 통계지도에서 표출(열지도 타입)
'대화형 통계지도>나의 데이터'에서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면, 지도화면에 내 데이터 위치가 마커 형태로 표출되고, 데이터보드에서 데이터 상세정보를 확인 할 수 있음. 데이터 조회 방식을 열지도로 선택하면 그림과 같이 열지도 형태로 표출됨. 지도레벨을 변경하여 바뀌는 열지도를 확인해볼 수 있음.

3. 이렇게 이용해 보세요!!

하나. 기본 사용법 익히기

다음 페이지의 '예제 따라해보기'를 통해서 나의 데이터 메뉴의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익혀보세요.

예제 따라해보기를 통해서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힌 후에는 나의 데이터 상세 이용가이드를 확인해보세요. 나의 데이터 기능을 모두 둘러볼 수 있어요.

예제 따라하기를 이용할 때 SGIS 로그인 없이 이용하려면 나의 데이터 체험하기를 활용해보세요.

둘.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나만의 데이터를 수집해서 활용해보세요.

예제 따라해보기에서 알려드린 공공데이터 포털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무궁무진한 통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요.

본인의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해서 데이터 수집하고, 나의 데이터 메뉴를 이용해서 지도에 표출할 수 있는 데이터로 만들어 보세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때는 상세 주소데이터가 포함된 자료를 수집하세요. 주소 정보가 없으면 지도에 표출할 수가 없어요.

4. 예제 따라해보기

아래의 그림은 SGIS 서비스 중 대화형 통계지도 '나의 데이터' 기능을 이용해서 만든 대전광역시 서구 중학교 현황지도입니다.
'나의 데이터' 기능을 이용해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내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통계지도를 만들 수 있어요. 먼저 SGIS 로그인을 하고 예제를 따라해보면서 만들어 보세요.

<그림> 통계갤러리 항목 상세화면 예시(대전 유성구 13세~15세 인구 지도)
통계갤러리 항목 상세화면 예시(대전 유성구 13세~15세 인구 지도)

1) 데이터 준비하기 - 데이터 검색

  • 우리가 만들 지도는 대전광역시 서구 중학교 현황 지도입니다. 공공데이터 포털 사이트에서 필요한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에 접속 후 대전광역시 서구 중학교를 검색해서 데이터를 찾아보세요. 데이터를 찾으면 다운로드 합니다.

2) 데이터 준비하기 - 데이터 편집 대전광역시 서구_중학교 현황.csv

  • 다운로드 후 파일을 열어보면 각각의 중학교 단위로 많은 컬럼(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의 데이터' 기능을 이용하려면 컬럼(속성)정보가 10개 이하 이어야 합니다.
  • 여기서 위의 그림과 같이 학교명, 학교도로명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남녀공학 구분 등 5개의 컬럼만 남기고, 나머지 컬럼은 삭제합니다.

3) 나의 데이터 메뉴 실행하기

나의 데이터 메뉴 실행하기
  • 마이페이지의 나의 데이터 메뉴를 실행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나의 데이터 목록이 보여집니다.
  • 내 파일 업로드 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파일 업로드 하기

파일 업로드 하기
  • 내 컴퓨터 파일 찾기 화면이 나타나면 파일찾기 버튼을 클릭하고, 이전 단계에서 편집한 '대전광역시 서구 중학교 현황' 엑셀 파일을 선택합니다.
  • 그러면 위의 그림과 같이 선택된 파일의 정보가 표 형태로 보여집니다. 여기서 나의 데이터를 POI로 표출하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5) 데이터 위치정보 생성하기 - 위치 생성방법 선택

데이터 위치정보 생성하기 - 위치 생성방법 선택
  • 우리가 업로드한 파일에는 '학교도로명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 주소 정보를 이용해서 지도에 표시할 위치 정보인 X, Y 좌표값을 생성하게 됩니다.
  • 주소 필드 선택 버튼을 클릭하세요.

6) 데이터 위치정보 생성하기 - 주소 필드 선택

데이터 위치정보 생성하기 - 주소 필드 선택
  • '학교도로명 주소' 정보는 E 필드에 있습니다. E 필드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해주세요.

7) 데이터 위치정보 생성하기 - 결과 확인

데이터 위치정보 생성하기 - 결과 확인
  • 잠시 동안 지오코딩(주소 정보를 이용한 X, Y 좌표값 생성) 작업이 진행되고나면 위의 그림과 같이 X, Y 좌표값을 포함한 위치정보 관련된 데이터가 추가됩니다.
  • 이제 각 학교의 위치정보가 생성되었으니 지도화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지도표출설정 버튼을 클릭하세요.

8) 지도 표출 설정하기

지도 표출 설정하기
  • 지도표출설정 화면에서는 우측 지도화면에 중학교 위치가 아이콘 형태로 표출됩니다.
  • 여기서 학교 아이콘을 클릭해보면 그림과 같이 툴팁정보에 학교명이 표출됩니다. 툴팁 표출정보를 바꿔보겠습니다.

9) 지도 표출 설정하기 - 툴팁 표출 설정

지도 표출 설정하기 - 툴팁 표출 설정
  • 좌측에 '툴팁 표출 설정' 에서 학교명은 선택 해제하고, 학교도로명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등 3가지 항목을 선택하고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이제 다시 학교 아이콘을 클릭해보면 툴팁정보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 저장하기

저장하기
  • 이제 지금까지 만든 데이터를 저장해보겠습니다. 저장 버튼을 클릭하세요.
  • 팝업창이 표출되면 제목을 입력하고, 다시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11) 저장하기 - 나의 데이터 목록 확인

저장하기 - 나의 데이터 목록 확인
  • 다시 처음의 나의 데이터 첫 화면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업로드하여 저장한 데이터가 목록에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제 나의 데이터를 대화형 통계지도 서비스 화면에서 열어보겠습니다.

12) 대화형 통계지도의 나의 데이터 실행하기

대화형 통계지도의 나의 데이터 실행하기
  • 대화형 통계지도의 나의 데이터 메뉴를 실행합니다.
  • 그러면 좌측에 나의 데이터 목록이 표출되고, 이전 단계에서 추가된 항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전 서구 중학교 지도 항목을 클릭하세요.

13) 나의 데이터 상세보기

나의 데이터 상세보기
  •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중학교 위치가 아이콘으로 표출되고, 학교 아이콘을 클릭하면 직접 설정한 툴팁정보가 표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추가로 우측의 데이터보드 영역에서 지도 설정을 바꿔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