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하기

[국토의 자연환경] 우리나라 기후는 어떻게 변화하였을까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기후의 특징과 변화 모습을 살펴보아요.

우리나라는 지구의 중위도에 위치해 봄·여름·가을·겨울의 사계절이 있으며 계절별로 기온의 차이와 특징이 달라요.
다음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환경의 변화를 살펴 볼까요?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환경의 변화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원인으로 발생한 기후의 변화가 자연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기후변화의 영향이라고 합니다.
기후변화는 오랜 기간(통상적으로 10년 이상의 긴 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의 기후 평균상태 또는 변동성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기후변화는 사회와 대기, 해양, 빙권, 생태계 등 자연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른 환경적·사회적 요인들과 상호작용을 합니다.

  • 우리나라는 점점 평균 기온이 높아져 아열대기후로 변화해가고 있는데, 이런 기후온난화의 원인으로 도시화 현상과 온실가스 배출 증가 등을 들 수 있어요.
  • 온난화로 인한 우리나라 기후 변화 중 눈에 띄는 특징은 여름철 강수 집중현상이 있어요.
다음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우리나라 기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아요.

우리나라는 점점 여름은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지고 있으며 봄과 가을은 큰 변화가 없어요.
과거 30년에 비해 최근 30년의 여름은 20일 길어지고 겨울은 22일 짧아졌어요.


우리나라 과거 계절길이의 변화(1912~2020)
  • 계절은 인간 및 동식물의 삶의 방식에 영향을 주는 기후현상으로 계절 시작일과 길이는 농업, 사회, 경제활동을 위한 계획을 세우는 기준이 됩니다.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기온 및 강수량 현황」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를 알아보아요.

SGIS 통계주제도의 「지역별 기온 및 강수량 현황」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우리나라 기온와 강수량을 보여주고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2010년도와 2023년도의 지역별 평균기온을 알 수 있어요.


<그림> 2010년 평균기온
<그림> 2023년 평균기온

  • 제주도의 2010년도의 평균기온은 15.8℃이고 보다 2023년의 평균기온은 17.1℃로 13년 동안 1.3℃ 상승한걸 알 수 있어요.
  • 우리나라는 지난 109년(1912~2020년)년간 연평균기온은 10년마다 0.2℃씩 꾸준히 상승했고, 이는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어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기온 및 강수량 현황」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를 알아보아요.

지도를 클릭하면 2010년도와 2023년도의 지역별 합계 강수량을 확인할 수 있어요.



<그림> 2010년 합계 강수량
<그림> 2023년 합계 강수량

  • 광주광역시의 2010년도의 합계 강수량은 1.573.1㎜이고 2023년의 합계 강수량은 2116.1㎜로 543㎜ 상승한걸 알 수 있어요.
  • 우리나라는 지난 최근 30년(1991~2020년)은 과거 30년(1912~1940년)에 비해 연강수량이 135.4㎜ 증가하였고 특히 여름철 7~8월에 강수량이 증가했어요.
SGIS 통계주제도의 「지역별 기온 및 강수량 현황」 통계지도로 우리나라의 기온과 강수량을 체험해 보아요.

통계주제도의 지역별 기온 및 강수량 현황은 2000년 부터의 년도별 평균·최고·최저 기온과 합계 강수량, 일일 최대 강수량을 알 수 있어요.
’통계선택’에서 기온이나 강수량을 선택하고 지도위의 알고 싶은 지역을 클릭하면 기온과 강수량 수치를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