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의 인문환경] 우리나라 인구구조는 어떻게 변화하였을까요.
우리나라를 100명이 사는 마을로 나타내면 비교하는 시기의 실제 사람 수를 비교하는 것보다 훨씬 쉽게 인구 특성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어요.
다음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사람 수에서 해당 사람들이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지 파악해 볼까요?

생산연령인구가 궁금해요! 생산연령인구는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연령의 인구를 말합니다.
1960년과 2020년을 비교해 살펴보자.
- 어떤 점이 비슷한가요? 1960년과 2020년 모두 100명 중 50명은 여자, 50명은 남자예요.
- 어떤 점이 크게 달라졌나요? 1960년에 비해 2020년에는 14세 이하의 유소년인구가 줄어들었고,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늘어났어요.
우리나라를 100명이 사는 마을로 나타내면 비교하는 시기의 실제 사람 수를 비교하는 것보다 훨씬 쉽게 인구 특성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어요.
다음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사람 수에서 해당 사람들이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지 파악해 볼까요?

-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보면, 전체 인구에서 유소년인구의 비율은 줄어들고,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계속 늘고있어요.
인구피라미드는 인구의 연령별, 남녀별 인구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에요. 세로축은 연령을 나타내고 가로축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의 수를 나타내요.
비교연도1은 1960년으로 선택, 비교연도2는 2020년으로 선택, 비교연도3은 2070년으로 선택해요!
- 인구피라미드를 비교해 보면 아랫부분의 폭은 좁아지고, 윗부분의 폭은 넓어진 모습으로 변화했어요. 유소년인구가 줄어들고 고령인구가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인구피라미드는 인구의 연령별, 남녀별 인구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에요. 세로축은 연령을 나타내고 가로축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의 수를 나타내요.
그래프 아래에 있는 타임라인에서 1960(년)을 클릭 또는 파란색 위치 아이콘()을 1960(년)으로 옮겨놓은 후 오른쪽 진행 버튼(▶)을 클릭해요!
- 인구구조는 2020년 인구피라미드 모습처럼 30~50대가 두터운 항아리형에서 60세 이상이 점차 두터워지는 역삼각형으로 변화될 전망이에요.
지역별 인구 비율을 통계지도에서 색으로 나타내었어요. 색이 연할수록 인구가 적다는 것을 뜻하고 있지요.
지도 아래에 있는 타임라인에서 원하는 연도를 클릭 또는 위치 아이콘()을 옮겨놓으면 인구의 변화를 볼 수 있어요.
- 0세~14세 유소년인구 비율을 지역별로 나타낸 통계지도의 색이 전반적으로 연해지고 있어요. 이는 유소년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뜻하고 있어요.
지역별 인구 비율을 통계지도에서 색으로 나타내었어요. 색이 진할수록 인구가 많다는 것을 뜻하고 있지요.
지도 아래에 있는 타임라인에서 원하는 연도를 클릭 또는 위치 아이콘()을 옮겨놓으면 인구의 변화를 볼 수 있어요.
-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을 지역별로 나타낸 통계지도의 색이 전반적으로 진해지고 있어요. 이는 고령인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뜻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