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가구 목록
즐겨찾기
즐겨찾기
(통계주제도) 인구 및 가구 목록 제공 API
(통계주제도) 인구 및 가구 목록 제공 API
https://sgisapi.kostat.go.kr/OpenAPI3/themamap/CTGR_001/list.json
| 요청변수 | 값 | Optional | 설명 |
|---|---|---|---|
| accessToken | String | 필수 | 액세스토큰 |
| 출력변수 | 값 | 설명 |
|---|---|---|
| stat_thema_map_id | String | 통계주제도 목록 ID |
| thema_map_category | String | 통계주제도 카테고리 |
| title | String | 제목 |
| disp_mthd | String | 표출 타입 |
| rel_stat_info | String | 출처 |
| thema_map_exp | String | 목록 Information |
| region_div | LIST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리스트(1: 시도, 2: 시군구, 3: 읍면동) |
| base_year | String | 경계 기준연도 |
| data1_nm | String | 첫번째 데이터 명 |
| data1_unit | String | 첫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2_nm | String | 두번째 데이터 명 |
| data2_unit | String | 두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3_nm | String | 세번째 데이터 명 |
| data3_unit | String | 세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4_nm | String | 네번째 데이터 명 |
| data4_unit | String | 네번째 데이터 단위 |
| yearinfo | LIST | 통계연도 정보 리스트 |
{
"id": "API_1201",
"result": {
"CTGR001List": [
{
"data1_nm": "증감률",
"base_year": "2021",
"data3_unit": null,
"rel_stat_info": "인구주택총조사",
"region_div": [
"1",
"2",
"3"
],
"data1_unit": "%",
"thema_map_exp": "2000년 대비 2019년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의 증감률을 행정 구역별로 비교하여 저출산으로 인한 유소년 인구 감소 현황을 파악할수 있는 주제도 \u203b 출처 : 인구주택총조사(통계청) \u203b 산출식 : [수]0-14세 인구 수 [증감률]0-14세 인구(2019-2000)/0-14세인구 2000* 100",
"data3_nm": null,
"thema_map_category": "CTGR_001",
"data4_unit": null,
"title":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 변화",
"disp_mthd": "증감",
"data2_unit": null,
"data4_nm": null,
"data2_nm": null,
"stat_thema_map_id": "4wFxoyx2Lz20160121115806976CJFsM4zzDw",
"yearInfo": [
"2020"
]
}
]
},
"errMsg": "Success",
"errCd": 0,
"trId": "JWnU_API_1201_1625190910106"
}
(통계주제도) 인구 및 가구 카테고리 데이터 제공 API
https://sgisapi.kostat.go.kr/OpenAPI3/themamap/CTGR_001/data.json
| 요청변수 | 값 | Optional | 설명 |
|---|---|---|---|
| accessToken | String | 필수 | 액세스토큰 |
| stat_thema_map_id | String | 필수 | 통계주제도 ID |
| region_div | 1 : 시도 2 : 시군구 3 : 읍면동 (default : 1) |
선택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
| adm_cd | 00 : 전국 2자리 : 해당 시도 5자리 : 해당 시군구 8자리 : 해당 읍면동 (default : 00) |
선택 | 행정구역 코드 |
| data_no | String | 선택 | 요청 데이터 번호 |
| year | String | 선택 | 요청 데이터 연도 |
| 출력변수 | 값 | 설명 |
|---|---|---|
| title | String | 제목 |
| data_nm | String | 데이터 명 |
| data_unit | String | 데이터 단위 |
| region_div | String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
| year | String | 데이터 연도 |
| data | LIST | 데이터 값 리스트 |
| adm_cd | String | 행정구역 코드 |
| value | String | 값 |
{
"id": "API_1202",
"result": {
"resultData": [
{
"title":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 변화",
"region_div": "2",
"data_nm": "증감률",
"data": [
{
"adm_cd": "25010 ",
"value": "-47.19"
},
{
"adm_cd": "25020 ",
"value": "-48.4"
},
{
"adm_cd": "25030 ",
"value": "-44.98"
},
{
"adm_cd": "25040 ",
"value": "31.39"
},
{
"adm_cd": "25050 ",
"value": "-67.57"
}
],
"year": "2020",
"data_unit": "%"
}
]
},
"errMsg": "Success",
"errCd": 0,
"trId": "wC5s_API_1301_1625201187429"
}
(통계주제도) 주거 및 교통 목록 제공 API
https://sgisapi.kostat.go.kr/OpenAPI3/themamap/CTGR_002/list.json
| 요청변수 | 값 | Optional | 설명 |
|---|---|---|---|
| accessToken | String | 필수 | 액세스토큰 |
| 출력변수 | 값 | 설명 |
|---|---|---|
| stat_thema_map_id | String | 통계주제도 목록 ID |
| thema_map_category | String | 통계주제도 카테고리 |
| title | String | 제목 |
| disp_mthd | String | 표출 타입 |
| rel_stat_info | String | 출처 |
| thema_map_exp | String | 목록 Information |
| region_div | LIST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리스트(1: 시도, 2: 시군구, 3: 읍면동) |
| base_year | String | 경계 기준연도 |
| data1_nm | String | 첫번째 데이터 명 |
| data1_unit | String | 첫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2_nm | String | 두번째 데이터 명 |
| data2_unit | String | 두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3_nm | String | 세번째 데이터 명 |
| data3_unit | String | 세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4_nm | String | 네번째 데이터 명 |
| data4_unit | String | 네번째 데이터 단위 |
| yearinfo | LIST | 통계연도 정보 리스트 |
{
"id": "API_1203",
"result": {
"CTGR001List": [
{
"data1_nm": "증감률",
"base_year": "2021",
"data3_unit": null,
"rel_stat_info": "인구주택총조사",
"region_div": [
"1",
"2",
"3"
],
"data1_unit": "명",
"thema_map_exp": "행정구역별로 주택당 평균 가구원수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주제도 \u203b 출처 : 인구주택총조사(통계청) \u203b 산출식 : 전체가구원/주택(미거주 주택(빈집)제외)",
"data3_nm": null,
"thema_map_category": "CTGR_002",
"data4_unit": null,
"title": "주택당 평균 가구원 현황",
"disp_mthd": "시계열",
"data2_unit": null,
"data4_nm": null,
"data2_nm": null,
"stat_thema_map_id": "IpuF2oqH6L20160121115806984w4uCvEzJru",
"yearInfo": [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0",
"2005",
"2000"
]
}
]
},
"errMsg": "Success",
"errCd": 0,
"trId":"IAdq_API_1202_1625203888523"
}
(통계주제도) 주거 및 교통 카테고리 데이터 제공 API
https://sgisapi.kostat.go.kr/OpenAPI3/themamap/CTGR_002/data.json
| 요청변수 | 값 | Optional | 설명 |
|---|---|---|---|
| accessToken | String | 필수 | 액세스토큰 |
| stat_thema_map_id | String | 필수 | 통계주제도 ID |
| region_div | 1 : 시도 2 : 시군구 3 : 읍면동 (default : 1) |
선택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
| adm_cd | 00 : 전국 2자리 : 해당 시도 5자리 : 해당 시군구 8자리 : 해당 읍면동 (default : 00) |
선택 | 행정구역 코드 |
| data_no | String | 선택 | 요청 데이터 번호 |
| year | String | 선택 | 요청 데이터 연도 |
| 출력변수 | 값 | 설명 |
|---|---|---|
| title | String | 제목 |
| data_nm | String | 데이터 명 |
| data_unit | String | 데이터 단위 |
| region_div | String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
| year | String | 데이터 연도 |
| data | LIST | 데이터 값 리스트 |
| adm_cd | String | 행정구역 코드 |
| value | String | 값 |
{
"id": "API_1204",
"result": {
"resultData": [
{
"title": "주택당 평균 가구원 현황",
"region_div": "2",
"data_nm": "가구원수",
"data": [
{
"adm_cd":"25010 ",
"value":"2.21"
},
{
"adm_cd":"25020 ",
"value":"2.38"
},
{
"adm_cd":"25030 ",
"value":"2.37"
},
{
"adm_cd":"25040 ",
"value":"2.38"
},
{
"adm_cd":"25050 ",
"value":"2.37"
}
],
"year": "2019",
"data_unit": "명"
}
]
},
"errMsg": "Success",
"errCd": 0,
"trId":"DU3N_API_1302_1625204639883"
}
(통계주제도) 복지 및 문화 목록 제공 API
https://sgisapi.kostat.go.kr/OpenAPI3/themamap/CTGR_003/list.json
| 요청변수 | 값 | Optional | 설명 |
|---|---|---|---|
| accessToken | String | 필수 | 액세스토큰 |
| 출력변수 | 값 | 설명 |
|---|---|---|
| stat_thema_map_id | String | 통계주제도 목록 ID |
| thema_map_category | String | 통계주제도 카테고리 |
| title | String | 제목 |
| disp_mthd | String | 표출 타입 |
| rel_stat_info | String | 출처 |
| thema_map_exp | String | 목록 Information |
| region_div | LIST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리스트(1: 시도, 2: 시군구, 3: 읍면동) |
| base_year | String | 경계 기준연도 |
| data1_nm | String | 첫번째 데이터 명 |
| data1_unit | String | 첫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2_nm | String | 두번째 데이터 명 |
| data2_unit | String | 두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3_nm | String | 세번째 데이터 명 |
| data3_unit | String | 세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4_nm | String | 네번째 데이터 명 |
| data4_unit | String | 네번째 데이터 단위 |
| yearinfo | LIST | 통계연도 정보 리스트 |
{
"id": "API_1205",
"result": {
"ThemaMapCTGR003List": [
{
"data1_nm": "보건시설 1개당 65세이상 노인인구",
"base_year": "2021",
"data3_unit": null,
"rel_stat_info": "인구주택총조사,전국사업체조사",
"data1_unit": "명",
"thema_map_exp": "보건시설1개당 65세 이상 노인인구수를 행정구역별로 비교해 볼 수 있는 주제도 - 해당업종(10차 표준산업분류) : 보건업(86) ※ 출처 : 인구주택총조사(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통계청) ※ 산출식 : 노인인구/보건업종 수",
"data3_nm": null,
"thema_map_category": "CTGR_003",
"region_div": [
"1",
"2",
"3"
],
"data4_unit": null,
"title": "보건시설 1개당 65세이상 노인인구",
"disp_mthd": "색상",
"data2_unit": null,
"data4_nm": null,
"data2_nm": null,
"stat_thema_map_id": "H3Gn9rLznD20141030095228163Lo1DnuEFuL",
"yearInfo": [
"2020"
]
}
]
},
"errMsg": "Success",
"errCd": 0,
"trId": "eZzd_API_1203_1625211298051"
}
(통계주제도) 복지 및 문화 카테고리 데이터 제공 API
https://sgisapi.kostat.go.kr/OpenAPI3/themamap/CTGR_003/data.json
| 요청변수 | 값 | Optional | 설명 |
|---|---|---|---|
| accessToken | String | 필수 | 액세스토큰 |
| stat_thema_map_id | String | 필수 | 통계주제도 ID |
| region_div | 1 : 시도 2 : 시군구 3 : 읍면동 (default : 1) |
선택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
| adm_cd | 00 : 전국 2자리 : 해당 시도 5자리 : 해당 시군구 8자리 : 해당 읍면동 (default : 00) |
선택 | 행정구역 코드 |
| data_no | String | 선택 | 요청 데이터 번호 |
| year | String | 선택 | 요청 데이터 연도 |
| 출력변수 | 값 | 설명 |
|---|---|---|
| title | String | 제목 |
| data_nm | String | 데이터 명 |
| data_unit | String | 데이터 단위 |
| region_div | String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
| year | String | 데이터 연도 |
| data | LIST | 데이터 값 리스트 |
| adm_cd | String | 행정구역 코드 |
| value | String | 값 |
{
"id": "API_1206",
"result": {
"resultData": [
{
"title": "보건시설 1개당 65세이상 노인인구",
"data_nm": "보건시설 1개당 65세이상 노인인구",
"data": [
{
"adm_cd": "25010 ",
"value": "114.28"
},
{
"adm_cd": "25020 ",
"value": "109.08"
},
{
"adm_cd": "25030 ",
"value": "58.75"
},
{
"adm_cd": "25040 ",
"value": "66.19"
},
{
"adm_cd": "25050 ",
"value": "110.17"
}
],
"year": "2020",
"data_unit": "명",
"region_div": "2"
}
]
},
"errMsg": "Success",
"errCd": 0,
"trId": "BKG0_API_1303_1625211357322"
}
(통계주제도) 노동 및 경제 목록 제공 API
https://sgisapi.kostat.go.kr/OpenAPI3/themamap/CTGR_004/list.json
| 요청변수 | 값 | Optional | 설명 |
|---|---|---|---|
| accessToken | String | 필수 | 액세스토큰 |
| 출력변수 | 값 | 설명 |
|---|---|---|
| stat_thema_map_id | String | 통계주제도 목록 ID |
| thema_map_category | String | 통계주제도 카테고리 |
| title | String | 제목 |
| disp_mthd | String | 표출 타입 |
| rel_stat_info | String | 출처 |
| thema_map_exp | String | 목록 Information |
| region_div | LIST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리스트(1: 시도, 2: 시군구, 3: 읍면동) |
| base_year | String | 경계 기준연도 |
| data1_nm | String | 첫번째 데이터 명 |
| data1_unit | String | 첫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2_nm | String | 두번째 데이터 명 |
| data2_unit | String | 두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3_nm | String | 세번째 데이터 명 |
| data3_unit | String | 세번째 데이터 단위 |
| data4_nm | String | 네번째 데이터 명 |
| data4_unit | String | 네번째 데이터 단위 |
| yearinfo | LIST | 통계연도 정보 리스트 |
{
"id": "API_1207",
"result": {
"ThemaMapCTGR004List": [
{
"data1_nm": "연평균 증감률",
"base_year": "2021",
"data3_unit": null,
"rel_stat_info": "전국사업체조사",
"data1_unit": "%",
"thema_map_exp": "2016년부터 2019년 사이에 슈퍼마켓의 수가 얼마나 변했는지를 알 수 있으며, 행정구역별로 슈퍼마켓의 증감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주제도 - 해당업종(10차 표준산업분류): 기타 음·식류품 위주(세세분류 코드 47121) ※ 출처 : 전국사업체조사(통계청) ※ 산출식 : [수]슈퍼마켓 개수 [연평균증감률(CAGR)](2019년 사업체수/2016 사업체수) ∧(1/(2019년-2016년))-1",
"data3_nm": null,
"thema_map_category": "CTGR_004",
"region_div": [
"1",
"2",
"3"
],
"data4_unit": null,
"title": "슈퍼마켓 변화",
"disp_mthd": "증감",
"data2_unit": "슈퍼마켓 수",
"data4_nm": null,
"data2_nm": "슈퍼마켓 수",
"stat_thema_map_id": "CsLEy7Fnvv20160629174353420yGr3HzFuMt",
"yearInfo": [
"2019"
]
},
]
},
"errMsg": "Success",
"errCd": 0,
"trId": "zM4V_API_1204_1625211378526"
}
(통계주제도) 노동 및 경제 카테고리 데이터 제공 API
https://sgisapi.kostat.go.kr/OpenAPI3/themamap/CTGR_004/data.json
| 요청변수 | 값 | Optional | 설명 |
|---|---|---|---|
| accessToken | String | 필수 | 액세스토큰 |
| stat_thema_map_id | String | 필수 | 통계주제도 ID |
| region_div | 1 : 시도 2 : 시군구 3 : 읍면동 (default : 1) |
선택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
| adm_cd | 00 : 전국 2자리 : 해당 시도 5자리 : 해당 시군구 8자리 : 해당 읍면동 (default : 00) |
선택 | 행정구역 코드 |
| data_no | String | 선택 | 요청 데이터 번호 |
| year | String | 선택 | 요청 데이터 연도 |
| 출력변수 | 값 | 설명 |
|---|---|---|
| title | String | 제목 |
| data_nm | String | 데이터 명 |
| data_unit | String | 데이터 단위 |
| region_div | String | 데이터 행정구역 범위 |
| year | String | 데이터 연도 |
| data | LIST | 데이터 값 리스트 |
| adm_cd | String | 행정구역 코드 |
| value | String | 값 |
{
"id": "API_1208",
"result": {
"resultData": [
{
"title": "슈퍼마켓 변화",
"data_nm": "연평균 증감률",
"data": [
{
"adm_cd": "25010 ",
"value": "0.02"
},
{
"adm_cd": "25020 ",
"value": "-0.02"
},
{
"adm_cd": "25030 ",
"value": "0.02"
},
{
"adm_cd": "25040 ",
"value": "0.05"
},
{
"adm_cd": "25050 ",
"value": "-0.02"
}
],
"year": "2019",
"data_unit": "%",
"region_div": "2"
}
]
},
"errMsg": "Success",
"errCd": 0,
"trId": "inQJ_API_1304_1625211415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