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추세 분석
- 메뉴설명
- 지역선택(①)
- 고령화 추세분석 서비스는 시/군/구 단위를 선택하여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실행버튼(②)
- '서비스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서비스가 실행 됩니다.
- 인쇄(③)
- 화면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 결과화면 선택(④)
- 선택된 분석결과가 화면의 최상단으로 이동 됩니다.
-
결과화면(과거인구구조변화)
-
-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과거의 인구구조 변화를 그래프와 표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용어설명
- 인구구성비란? 0-14세, 15-64세,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중에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
- 2000년부터 2010년 까지의 노인 인구 구조와 노년부양비, 노령화 지수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노인인구구성비를 대전광역시와 서구를 비교하여 그래프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용어설명
- - 노년부양비(①)
- 노년부양비=(65세이상인구)/(15~64세인구)*100
생산능력(경제활동능력)이 없는 노년인구를 생산가능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
- - 노령화지수(②)
- 노령화지수=(65세이상인구)/(0~14세인구)*100
유소년인구(0~14세)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65세이상인구)의 비
-
- 서구의 5년간 인구 증가율을 왼쪽 그래프로 보여주며, 오른쪽 그래프는 노령인구 인구 증가와 유년인구의 증가를 차트로 보여줍니다.
- <용어설명>
- - 표준화 계산법
- 해당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 함
Z(표준화된 값)=(변수값-변수들의 평균)/변수들의 표준편차
Ex) 서구의 5년간 평균 0-14세 미만 인구 증가율의 값이 4.61이라고 하고 평균이가 1.61 이라고 할때,
서구의 표준 편차가 3이라고 하면 서구의 표준화된 값은 다음과 같다.
Z = (4.61-1.61)/3=1.00
Ex) 서구의 5년간 평균 65세 이상 인구 증가율의 값이 8.67이라고 하고 평균이가 6.91 이라고 할때,
서구의 표준 편차가 1.75이라고 하면 서구의 표준화된 값은 다음과 같다.
Z = (8.67-6.91)/1.75=1.00
- 표준화값 해석방법
*진단의 기준(자료의 평균을 기준으로)
-2표준편차이하:매우낮음
-2표준편차~-1표준편차:다소낮음
-1표준편차~+1표준편차:비슷
+1표준편차~+2표준편차:다소높음
+2표준편차이상:매우높음
- 사회 판단 기준
- 노인인구비율(65세이상인구/전체인구)이 각 년도를 기준으로
- 7%미만 이면 일반사회
- 7%이상 14%미만이면 고령화사회
- 14%이상 20%미만이면 고령사회
- 20%이상이면 초고령화사회
-
결과화면(미래인구구조변화)
-
- 2005년부터 2030년까지 미래의 고령화진행을 볼 수 있으며, 대전 광역시가 전국에서 노인인구 구성비가 어느 정도인지 또는 전국의 노인인구 구성비를 그래프로 파악 할 수 있습니다.
- 용어설명
- 인구구성비란? 0-14세, 15-64세,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중에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 대전 광역시의 노년부양비(①), 노령화 지수(②)를 그래프로 나타내서 미래 고령화 진행상황을 파악 할 수 있습니다.
- 용어설명
- - 노년부양비(①)
- 노년부양비=(65세이상인구)/(15~64세인구)*100
생산능력(경제활동능력)이 없는 노년인구를 생산가능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
- - 노령화지수(②)
- 노령화지수=(65세이상인구)/(0~14세인구)*100
유소년인구(0~14세)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65세이상인구)의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