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화형 통계지도>의 첫 사용을 환영합니다.
<대화형통계지도>는 통계조건과 지역을 선택하면 통계지도를 보여주는 서비스 입니다.
'다음'버튼을 클릭하세요.

👉

<총조사 주요지표>는 각 총조사 결과 중 이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지표를 정리해 놓은 메뉴입니다.
먼저 통계메뉴에서 '총조사주요지표'를 클릭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지역의 총인구를 검색하면서 기본적인 사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주요지표의 '총인구(명)'을 클릭하세요.

👈

'검색조건 생성'을 클릭하세요.

👈

선택항목 메뉴에 방금 선택한 통계조건이 올라와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지역을 선택하겠습니다.
'지역표시 메뉴'를 클릭하세요.

👈

지역표시 메뉴에서 대전광역시 전체를 선택 후 확인을 클릭하세요.

👈

대전광역시 경계가 보입니다.
지도를 조금 더 확대하여 대전광역시 서구 경계가 보이게 해주세요.
'확대'버튼을 클릭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 경계입니다.
이제 '선택항목'의 총인구 버튼을 끌어서 서구 경계 위로 가져다 놓아보세요.
(드래그앤드랍을 이용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 총인구 검색결과가 색상지도로 보입니다.
검색된 색상지도의 각 지역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지역의 통계치가 툴팁으로 나타납니다.
파란박스 위에 마우스를 올려 통계값을 확인해 보세요.
'데이터보드'를 클릭하세요.

👉
지도결과 설명

검색 결과에 대한 요약 데이터를 '데이터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서구 각 동의 총인구 자료가 그래프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프 위의 토글 버튼에서 '표'를 클릭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 각 행정동의 총인구 자료가 수치로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보드는 데이터보기 뿐 아니라 시계열 조회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데이터보기'를 클릭하세요.

👉

시계열조회 메뉴에서는 과거년도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시계열 선택을 하지 않을 시에는 기본적으로 가장 최신 년도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이제 데이터보드를 닫고, 다른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보드를 닫아주세요.

👉

화면 좌측 하단의 범례창에서 통계지도의 시각화와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범례창 우측의 색상표를 클릭해서 통계지도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파란색 동그라미를 클릭하세요.

👈

색상지도가 파란색 계열로 바뀌어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범례 환경설정은 다양한 설정이 있습니다.
'범례 환경설정'버튼을 클릭하세요.

👈

범례 환경설정에는 범례고정, 타입설정, 단계설정, 색상설정, 초기화, 투명도 설정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버튼에서 '타입설정'버튼을 클릭하세요.

👈

버블지도는 각 지역의 통계값의 크기에 따라 버블의 크기와 색상이 달라집니다.
이외에도 열지도와 점지도 등 다양한 시각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버블'버튼을 클릭하세요.

👈

색상지도가 버블지도로 바뀐 모습입니다.
오른쪽 상단의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나타난 지도가 지워지고 경계만 나타납니다.
'초기화'버튼을 클릭하세요.

👉

총조사 주요지표 설명이 끝났습니다.
다른 통계 메뉴를 살펴 보겠습니다.
'통계메뉴'버튼을 클릭하세요.

👈

<인구주택총조사>는 인구·가구·주택 각 항목에 대한 지표를 정리해 놓은 메뉴입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2016년 이전은 5년단위, 2016년부터는 매년 시행하고 읍면동보다 작은 집계구 단위의 통계 검색이 가능합니다.
[집계구 : 소지역통계 제공을 위한 최소구역으로 인구 500명 내외 포함(읍면동의 평균 1/29)]
먼저 통게메뉴에서 '인구주택 총조사'를 클릭하세요.

👈

인구주택 총조사는 조건설정창에서 조건을 선택하여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구조건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조사년도, 성별, 연령을 선택하여 조건을 설정합니다.
연령(선택)을 클릭하세요.

👈

2022년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의 10세이상~65세 미만 남녀인구를 확인해보겠습니다.
2022년도, 성별 전체, 연령(선택)을 통해 조건을 선택하신 후, '인구조건 버튼생성'을 클릭하세요.

👈

이제 '선택항목'의 10세~64세 + 남여인구 버튼을 끌어서 둔산2동의 경계 위로 가져다 놓아보세요.
(드래그앤드랍을 이용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 2동의 10세~64세 + 남여인구 검색결과가 색상지도로 보입니다.
검색된 색상지도의 각 지역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지역의 통게치가 툴팁으로 나타납니다.
파란박스 위에 마우스를 올려 통계값을 확인해 보세요.
'데이터보드'를 클릭하세요.

👉
지도결과 설명

검색 결과에 대한 요약 데이터를 '데이터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의 10~64세 + 남여인구가 집계구 별로 조회한 통계값 막대그래프와
상위지역을 비교한 원그래프가 데이터보드에 보여집니다.
데이터보드를 닫아주세요.

👉

오른쪽 상단의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나타난 지도가 지워지고 경계만 나타납니다.
'초기화'버튼을 클릭하세요.

👉

인구주택총조사 설명이 끝났습니다.
다른 통계 메뉴를 살펴 보겠습니다.
'통계메뉴'버튼을 클릭하세요.

👈

<농림어업총조사>는 농가·임가·어가 각 항목의 가구 및 가구원에 대한 지표를 정리해 놓은 메뉴입니다.
농림어업총조사는 5년단위로 시행하고 읍면동보다 작은 집계구 단위의 통계 검색이 가능합니다.
[집계구 : 소지역통계 제공을 위한 최소구역으로 인구 500명 내외 포함(읍면동의 평균 1/29)]
먼저 통계메뉴에서 '농림어업 총조사'를 클릭하세요.

👈

농림어업 총조사는 조건 설정창에서 조건을 선택하여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농가조건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조사년도, 성별, 연령을 선택하여 조건을 설정합니다.
2020년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의 농가 10세~65세 미만 남녀 인구를 확인해보겠습니다.
가구원 성별(선택)을 클릭하세요.

👈

가구원 성별에서 전체를 선택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검색하고 싶은 가구원의 연령을 설정해 보겠습니다.
해당 가구원의 연령(선택)을 클릭하세요.

👈

해당 가구원 연령에서 10세이상~65세미만을 선택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조사년도, 가구원 성별(선택), 해당 가구원 연령(선택)을 통해 조건을 선택한 후, '검색조건 생성'을 클릭하세요.

👈

이제 '선택항목'의 농가+10세~64세+남녀인구 버튼을 끌어서 둔산2동 경계 위로 가져다 놓아보세요.
(드래그앤드랍을 이용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의 농가 + 10세~64세 + 남여인구 검색결과가 색상지도로 보입니다.
검색된 색상지도의 각 지역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지역의 통계치가 툴팁으로 나타납니다.
파란박스 위에 마우스를 올려 통계값을 확인해 보세요.
'데이터보드'를 클릭하세요.

👉
지도결과 설명

검색 결과에 대한 요약 데이터를 '데이터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의 농가+10~64세+남여인구가 집계구 별로 그래프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보드를 닫아주세요.

👉

오른쪽 상단의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나타난 지도가 지워지고 경계만 나타납니다.
'초기화'버튼을 클릭하세요.

👉

농림어업 총조사 설명이 끝났습니다.
다른 통계 메뉴를 살펴 보겠습니다.
'통계메뉴'버튼을 클릭하세요.

👈

<전국사업체조사>는 표준산업분류 및 생활밀접업종에 대한 지표를 정리해 놓은 메뉴입니다.
전국사업체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읍면동보다 작은 집계구 단위의 통계 검색이 가능합니다.
[집계구 : 소지역통계 제공을 위한 최소구역으로 인구 500명 내외 포함(읍면동의 평균 1/29)]
먼저 통계메뉴에서 '전국 사업체조사'를 클릭하세요.

👈

전국 사업체조사는 산업분류별 사업체수 또는 종사자수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산업분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주요 업종 61가지를 테마업종으로 따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테마업종'을 클릭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의 2021년 카페 사업체수를 살펴보겠습니다.
대상 선택하기(필수)에서 사업체수가 선택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카페를 선택해보겠습니다.
음식 카테고리를 클릭하세요.

👈

테마업종 검색조건에서 음식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카페를 선택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테마조건 버튼생성'을 클릭하세요.

👈

이제 '선택항목'의 카페+사업체수 버튼을 끌어서 둔산2동 경계 위로 가져다 놓아보세요.
(드래그앤드랍을 이용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의 카페 사업체수 검색결과가 색상지도로 보입니다.
검색된 색상지도의 각 지역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지역의 통계치가 툴팁으로 나타납니다.
파란박스 위에 마우스를 올려 통계값을 확인해 보세요.
'데이터보드'를 클릭하세요.

👉
지도결과 설명

검색 결과에 대한 요약 데이터를 '데이터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의 카페 사업체수가 집계구 별로 그래프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보드를 닫아주세요.

👉

지표 버튼은 전국 사업체조사의 최신년도에 제공하는 산업분류와 주요 업종 61가지 테마업종의
사업체 위치를 제공하는 메뉴이며 다른 메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현재 화면에서 카페 사업체의 위치와 이름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표'버튼을 클릭하세요.

👉

지표목록에서 '음식'버튼을 클릭하세요.

👉

음식목록에서 '카페'버튼을 클릭하세요.

👈

현재 보고있는 지도영역에 존재하는 카페 사업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가 생성됩니다.
'마커'를 클릭하세요.

👉

선택한 마커의 사업체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기화'버튼을 클릭하세요.

👉

전국 사업체조사 설명이 끝났습니다.
다른 통계 메뉴룰 살펴보겠습니다.
'통계메뉴'버튼을 클릭하세요.

👈

<e-지방지표>는 국가승인통계 중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서비스 되고 있는 행정구역단위 통계를 제공하는 메뉴입니다.
표본조사 자료이므로 시도 또는 시군구자료가 조회 가능합니다.
먼저 통계메뉴에서 'e-지방지표'를 클릭하세요.

👈

e-지방지표 목록에서 국가통계포털(KOSIS)이 서비스하고 있는 통계 중 원하는 통계 항목을 선택하여 지표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목록에서 하나의 주제를 고르고 지표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구'를 클릭하세요.

👈

주민등록인구 지표 확인을 위해 인구의 주민등록인구를 선택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겠습니다.
2022년 주민등록 인구의 계를 확인하기 위해 세부항목을 선택하신 후,
'검색조건 버튼 생성'을 클릭하세요.

👈

이제 '선택항목'의 주민등록인구(시도/시/군/구)> 계 2022년 버튼을 끌어서 둔산 2동 경계 위로 가져다 놓아보세요.
(드래그앤드랍을 이용하세요!)

👈

주민등록인구지표는 시/군/구까지만 조회가 가능하여 알림 창이 뜨며
'확인'을 누르면 조회가 가능한 시도 또는 시/군/구로 이동해서 지표를 보여줍니다.
'확인'버튼을 클릭하세요.

👉

대전광역시 시/군/구의 주민등록인구 검색결과가 색상지도로 보입니다.
검색된 색상지도의 각 지역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지역의 통계치가 툴팁으로 나타납니다.
파란박스 위에 마우스를 올려 통계값을 확인해 보세요.
'데이터보드'를 클릭하세요.

👉
지도결과 설명

검색 결과에 대한 요약 데이터를 '데이터보드'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5개 구의 주민등록 인구가 그래프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보드를 닫아주세요.

👉

오른쪽 상단의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나타난 지도가 지워지고 경계만 나타납니다.
'초기화'버튼을 클릭하세요.

👉

e-지방지표 설명이 끝났습니다.
다른 통계 메뉴를 살펴 보겠습니다.
'통계메뉴'버튼을 클릭하세요.

👈

<공공데이터>는 위치중심 공공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입니다.
먼저 통계메뉴에서 '공공데이터'를 클릭하세요.

👈

공공데이터 목록에서 원하는 통계 항목을 선택하여 지표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하철 승하차인구 정보와 버스정류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지역을 지역표시 메뉴에서 설정하고 '지하철 승하차인구 정보'를 클릭하세요.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을 기준으로 지도 영역 내에 존재하는
지하철역을 목록과 마커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회된 지하철역 중 정부청사역을 데이터보드 목록에서 선택하거나 마커를 클릭하세요.

👈
👉

데이터보드에서 해당 역의 일평균, 월평균, 요일평균의 승하차인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역 근처의 주요정보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해당 POI 통계정보'를 클릭하세요.

👉

데이터보드에서 임의 영역을 100, 300, 500, 1000m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영역 내의 인구, 가구, 주택, 사업체 수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반경에 따라 선택된 영역을 지도에서 나타내고 있습니다.
데이터보드를 닫아주세요.

👉

오른쪽 상단의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나타난 지도가 지워지고 경계만 나타납니다.
'초기화'버튼을 클릭하세요.

👉

공공데이터 설명이 끝났습니다.
다른 통계 메뉴를 살펴 보겠습니다.
'통계메뉴'버튼을 클릭하세요.

👈

<나의 데이터>는 자신이 등록한 정보 및 다른 사용자가 등록하여 공개한 정보를 조회하여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메뉴입니다.
먼저 통계메뉴에서 '나의 데이터'를 클릭하세요.

👈

나의 데이터 이동을 클릭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txt, csv, Excel, KML 등의 파일을 업로드하여
지도 위에 매핑할 수 있습니다.
'나의 데이터 이동'을 클릭하세요.

👈

로그인 한 상태가 아니라면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해주세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신 후, '로그인'버튼을 클릭하세요.

👈

사용자의 업로드된 데이터 목록이 나타납니다.
업로드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파일을 업로드 해야 됩니다.
'내파일 업로드 하기'를 클릭하세요.

👈

파일 찾기를 통해 업로드 할 파일을 선택합니다.
※ 1회당 업로드 제한(3500row/ 10 column(엑셀,CSV,TXT))
'파일찾기'버튼을 클릭하세요.

👈

실습을 위해서 sample.xlsx 파일을 업로드하겠습니다.
'열기'버튼을 클릭하세요.

👉

업로드한 데이터를 대화형 통계지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오코딩을 수행합니다.
지오코딩은 통계지도에서 사용하는 좌표 체계로 위치를 조회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나의 데이터를 POI로 표출하기'버튼을 클릭하세요.

👉

팝업창에서 지도에 표시할 X,Y좌표를 생성하기 위해서 주소를 이용하여 지오코딩을 하겠습니다.
'주소 필드 선택'버튼을 클릭하세요.

👈

주소로 지오코딩을 수행하기 위해서 주소 데이터가 들어있는 필드 E를 선택하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X,Y좌표를 생성하겠습니다.
'확인'버튼을 클릭하세요.

👉

생성된 X,Y좌표가 포함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나의 데이터 업로드를 마칩니다.
'저장 후 데이터편집'버튼을 클릭하세요.

👈

Sample이란 이름으로 업로드한 데이터가 생성된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버튼을 클릭하세요.

👉

업로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나의 데이터로 이동하겠습니다.
대화형 통계지도의 '나의 데이터'를 클릭하세요.

👉

나의 데이터에 저장된 목록에 업로드한 sample 항목이 생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ample 항목'을 클릭하세요.

👈

Sample항목에 저장된 데이터가 POI로 표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표출 정보 설정을 통해서 마커 클릭 시 나타낼 정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명칭, 주소, A(권리금)을 선택한 후 '적용버튼'을 클릭하세요.

👉

설정한 표출 정보가 잘 적용됐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마커'를 클릭해서 표출정보를 확인해보세요.

👉

설정한 표출 정보가 잘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보드의 조회방식에서 POI보기, 열지도, 버블지도를 클릭하면 조회 방식 변경이 가능합니다.
조회 방식 설정에서 열지도를 선택하면 열지도 유형으로 지도가 바뀝니다.
'열지도'를 클릭하세요.

👉

POI보기에서 열지도로 바뀐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열지도 가중치 컬럼 선택에서 가중치 옵션을 적용하여 열지도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월세를 적용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적용 버튼'을 클릭하세요.

👉

가중치 옵션(월세)이 적용되어 변화한 열지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기능인 그룹화 옵션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다음'버튼을 클릭하세요.

👉

그룹화 옵션은 같은 값을 가진 데이터를 같은 색깔로 나타내는 기능입니다.
그룹화를 적용할 컬럼을 권리금으로 설정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룹 버튼'을 클릭하세요.

👇

그룹화가 적용되어 권리금이 같은 사업체들이 동일한 색깔로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대화형 통계지도> 튜토리얼을 마쳤습니다.